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감정도 텍스트로 푸는 시대 – Z세대는 왜 TMI를 남기는 걸까?

정보통신

by 무무통신 2025. 4. 22. 12:20

본문

방 안에서 노트북을 켜고 혼잣말하듯 감정을 기록 중인 Z세대의 감성적인 디지털 일상 일러스트


요즘 SNS에 이런 글, 자주 보이지 않나요?

“아침부터 기분이 몽글몽글해. 오늘은 딸기우유 마시고 시작.”
“그냥… 말하고 싶었어. 별일은 아니고,
그냥 그런 날 있잖아.”


이런 감정의 조각들.
Z세대는 더 이상 감정을 감추지 않아요.
그대로 흘려보내고, 그대로 기록합니다.
TMI(Too Much Information)?
이젠 “Too Much”가 아니라, Too Real이에요.



1. 의식의 흐름식 감정 표현



“그냥 끄적였는데 공감이 돼요”

예전엔 일기장에 적던 말을,
이젠 서브계정 트윗이나 인스타 스토리에 씁니다.
포인트는 하나 – 정제되지 않은 솔직한 마음.

  • “기분이 별로지만 왜 그런진 모르겠어.”
  • “아무도 몰랐으면 좋겠고, 한 명쯤 알아줬으면 좋겠고.”


Z세대는 감정을 정리하기보다 흐름대로 쏟아내는 것에 익숙해요.
그게 오히려 더 진심이고, 더 큰 공감을 얻죠.



2. 감정 로그, 서브계정이 메인입니다


“나의 감정은 서브계정에 살고 있어요”


Z세대의 SNS는 계정마다 역할이 나뉘어 있어요.

  • 본계정: 피드 관리, 정보성 콘텐츠
  • 서브계정: 감정토로, 무드로그, 진짜 이야기
  • 운영 목적: 좋아요나 반응보다 기분을 털어내는 공간
서브계정에 쓰는 글이 ‘진짜 나’라는 인식,
그래서 오히려 더 소중하게 쓰여요.


다양한 감정을 이모지로 표현하며 스마트폰으로 무드로그를 남기는 Z세대 여성의 일러스트



3. 감정 일기, 앱으로도 씁니다


“기분 추적도 루틴이에요”


요즘 유행하는 감정기록 도구:

  • 마인드트래킹 앱: 하루 기분을 이모지로 체크
  • 감정일기 앱: 오늘 나의 감정 변화와 원인 적기
  • AI 다이어리: 챗GPT에 “오늘 기분이 이상해요”라고 말 걸기
“감정은 지나가도 기록은 남으니까.”
Z세대는 감정을 붙잡기보다 흐르게 돕는 툴을 만듭니다.
디지털 감정 관리 루틴, 이미 익숙해졌어요.



4. 감정을 텍스트로 푸는 이유


“말하면 가볍고, 안 하면 무거워요”


Z세대는 감정을 억누르거나 숨기지 않아요.
조금이라도 털어놓으면 정리되는 기분,
그걸 믿기 때문에 TMI도 기꺼이 남겨요.

  • “왜 우울한지 모르겠어서 그냥 써봤어.”
  • “이게 별일은 아닌데, 쓰고 나면 괜찮아지더라고.”
감정 표현 = 감정 해소
감정을 드러내는 게 오히려 회복의 시작이 되는 시대입니다.



✍️ '마무리하며'


감정을 기록하는 건, 더 나은 나를 위한 루틴


Z세대의 TMI는 그저 ‘많은 정보’가 아니라
감정 정리, 자기 이해, 공감 연결을 위한 루틴이에요.

감정을 숨기기보다 흘려보내고,
덜어내기보다 기록하는 것.
그게 Z세대의 감정 기술이에요.

관련글 더보기